
- > 교육과정
- > 졸업이수기준
졸업이수기준
2024~2025학년도
1. 졸업소요학점
졸업학점에 필요한 교양학점, 주전공학점, 다전공학점을 설명
졸업
학점 |
교양학점 |
주전공학점 |
다전공학점 |
비고 |
교양필수 |
교양선택 |
단일
전공 |
다전공 |
학생자율
설계전공 |
복수
전공 |
부
전공 |
연계
전공 |
융합전공 |
기초
교양 |
특화
교양 |
중점
교양 |
최소기본학점 |
125 |
8 |
8 |
20 |
60 |
36 |
36 |
36 |
21 |
54 |
53 |
|
졸업논문 대체
- 종합시험
- 1. 시험과목 : ① 철도안전법 ②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③ 관제관련규정
- 2. 문제내용 : 객관식 또는 주관식
- 3. 통과점수 : 40점 이상, 과목당 100점 만점에서 전체 과목 평균 60점 이상
학과 별도 졸업이수 관련 사항
- 대학과 학과가 정한 졸업인증을 통과해야 한다. 졸업인증 항목은 다음 각 호와 같다.
- 1. 대학에서 정한 졸업인증 항목을 이수한다.
- 2. 다음 2가지 중 하나를 충족한 자로 한다.
⑴'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’를 취득 또는 철도차량운전면허 관련 전공과목을 모두 이수한 자
*철도차량운전면허 관련 5개 전공과목은 철도관련법,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, 비상시조치(운전) 등, 운전이론일반, 도시철도시스템일반(각 3학점)
⑵'철도교통관제사 자격’을 취득 또는 철도교통관제 관련 전공과목을 모두 이수한 자
*철도교통관제사 자격 관련 5개 전공과목은 철도관련법, 관제관련규정 , 철도시스템일반, 운철도교통관제운영, 비상시조치(관제). (각 3학점)
- 우리학과의 졸업논문 시행을 종합시험으로 대체하여 시행하며, 종합시험의 세부사항은 다음의 각 호와 같다.
- 1. 종합시험 과목은 ① 철도안전법 ②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③ 관제관련규정 으로 한다.
- 2. 종합시험의 합격점수는 과목당 40점 이상, 과목당 100점 만점에서 전체 평균 60점 이상으로 한다.
- 3. 종합시험 응시자격은 전공 학점을 45학점 이상 이수한 자로 하며, 종합시험 및 재시험 등은 대학의 규정에 따라 시행하고 학과별로 시행 할 경우 학과장이 내부회의를 거쳐 학생에게 통보 후 시행한다.
- 졸업인증 또는 종합시험을 통과하지 못한 자는 수료처리하고, 미충족 항목을 충족하였을 때 졸업할 수 있다.
2023학년도
1. 졸업소요학점
졸업학점에 필요한 교양학점, 주전공학점, 다전공학점을 설명
졸업
학점 |
교양학점 |
주전공학점 |
다전공학점 |
비고 |
교양필수 |
교양선택 |
단일
전공 |
다전공 |
학생자율
설계전공 |
복수
전공 |
부
전공 |
연계
전공 |
학생자율설계전공 |
기초
교양 |
특화
교양 |
중점
교양 |
최소기본학점 |
125 |
8 |
8 |
20 |
60 |
36 |
36 |
36 |
21 |
- |
36 |
|
졸업논문 대체
- 종합시험
- 1. 시험과목 : ① 철도안전법 ②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③ 관제관련규정
- 2. 문제내용 : 객관식 또는 주관식
- 3. 통과점수 : 40점 이상, 과목당 100점 만점에서 전체 과목 평균 60점 이상
학과 별도 졸업이수 관련 사항
- 대학과 학과가 정한 졸업인증을 통과해야 한다. 졸업인증 항목은 다음 각 호와 같다.
- 1. 대학에서 정한 졸업인증 항목을 이수한다.
- 2. 다음 2가지 중 하나를 충족한 자로 한다.
⑴'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’를 취득 또는 철도차량운전면허 관련 전공과목을 모두 이수한 자
*철도차량운전면허 관련 5개 전공과목은 철도관련법,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, 비상시조치(운전) 등, 운전이론일반, 도시철도시스템일반(각 3학점)
⑵'철도교통관제사 자격’을 취득 또는 철도교통관제 관련 전공과목을 모두 이수한 자
*철도교통관제사 자격 관련 5개 전공과목은 철도관련법, 관제관련규정 , 철도시스템일반, 운철도교통관제운영, 비상시조치(관제). (각 3학점)
- 우리학과의 졸업논문 시행을 종합시험으로 대체하여 시행하며, 종합시험의 세부사항은 다음의 각 호와 같다.
- 1. 종합시험 과목은 ① 철도안전법 ②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③ 관제관련규정 으로 한다.
- 2. 종합시험의 합격점수는 과목당 40점 이상, 과목당 100점 만점에서 전체 평균 60점 이상으로 한다.
- 3. 종합시험 응시자격은 전공 학점을 45학점 이상 이수한 자로 하며, 종합시험 및 재시험 등은 대학의 규정에 따라 시행하고 학과별로 시행 할 경우 학과장이 내부회의를 거쳐 학생에게 통보 후 시행한다.
- 졸업인증 또는 종합시험을 통과하지 못한 자는 수료처리하고, 미충족 항목을 충족하였을 때 졸업할 수 있다.
2022학년도
졸업학점에 필요한 교양학점, 주전공학점, 다전공학점을 설명
졸업
학점 |
교양학점 |
주전공학점 |
다전공학점 |
비고 |
교양필수 |
교양선택 |
단일
전공 |
다전공 |
학생자율
설계전공 |
복수
전공 |
부
전공 |
연계
전공 |
융합
전공 |
기초
교양 |
특화
교양 |
중점
교양 |
최소기본학점 |
125 |
12 |
8 |
16 |
60 |
36 |
36 |
36 |
21 |
54 |
53 |
|
졸업논문 대체
- 종합시험
- 1. 시험과목 : ① 철도안전법 ②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③ 관제관련규정
- 2. 문제내용 : 객관식 또는 주관식
- 3. 통과점수 : 40점 이상, 과목당 100점 만점에서 전체 과목 평균 60점 이상
학과 별도 졸업이수 관련 사항
- 대학과 학과가 정한 졸업인증을 통과해야 한다. 졸업인증 항목은 다음 각 호와 같다.
- 1. 대학에서 정한 졸업인증 항목을 이수한다.
- 2. 다음 2가지 중 하나를 충족한 자로 한다.
⑴'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’를 취득 또는 철도차량운전면허 관련 전공과목을 모두 이수한 자
*철도차량운전면허 관련 5개 전공과목은 철도관련법,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, 비상시조치(운전) 등, 운전이론일반, 도시철도시스템일반(각 3학점)
⑵'철도교통관제사 자격’을 취득 또는 철도교통관제 관련 전공과목을 모두 이수한 자
*철도교통관제사 자격 관련 5개 전공과목은 철도관련법, 관제관련규정 , 철도시스템일반, 운철도교통관제운영, 비상시조치(관제). (각 3학점)
- 우리학과의 졸업논문 시행을 종합시험으로 대체하여 시행하며, 종합시험의 세부사항은 다음의 각 호와 같다.
- 1. 종합시험 과목은 ① 철도안전법 ②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③ 관제관련규정 으로 한다.
- 2. 종합시험의 합격점수는 과목당 40점 이상, 과목당 100점 만점에서 전체 평균 60점 이상으로 한다.
- 3. 종합시험 응시자격은 전공 학점을 45학점 이상 이수한 자로 하며, 종합시험 및 재시험 등은 대학의 규정에 따라 시행하고 학과별로 시행 할 경우 학과장이 내부회의를 거쳐 학생에게 통보 후 시행한다.
- 졸업인증 또는 종합시험을 통과하지 못한 자는 수료처리하고, 미충족 항목을 충족하였을 때 졸업할 수 있다.